새로운 메세지가 왔습니다
정보게시판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 음성이 나오지 않을 때 해결법
최고관리자
2025.11.17 11:33
132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 음성이 나오지 않을 때 해결법
파워포인트는 2025년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레젠테이션 도구 중 하나입니다. 영상과 오디오를 결합해 보다 효과적인 발표 자료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분들이 파워포인트의 동영상 기능을 활용하고 계십니다. 그렇지만 동영상을 슬라이드에 삽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발표 도중 음성이 재생되지 않아 당황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에 따른 해결법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의 음성이 나오지 않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 방법들을 체계적으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동영상 음성 미출력의 주요 원인 진단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의 음성이 나오지 않는 현상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부터 살펴보면, 첫 번째로 지원되지 않는 동영상 파일 형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워포인트는 일반적으로 MP4, WMV, AVI, MOV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지만, 모든 코덱을 완벽히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동영상 파일이 특수한 코덱으로 인코딩되어 있다면 영상은 보여도 음성 트랙이 재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동영상의 오디오 트랙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의 음성 트랙이 손상되었거나, 무음(음성 트랙이 없는) 상태로 저장된 경우입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온라인에서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 중 약 12%는 오디오 트랙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파워포인트 자체의 오디오 설정이나, 컴퓨터의 오디오 장치 설정 문제입니다. 발표장이나 회의실에서 자주 겪는 이슈로, 파워포인트 내 음소거 설정, 컴퓨터의 기본 사운드 출력 장치가 올바르게 지정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드물지만 동영상 삽입 시 ‘링크’ 방식으로 삽입한 경우 외부 파일 경로가 바뀌거나 네트워크 접근이 차단되어 음성을 재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주로 파일을 다른 컴퓨터로 옮기거나, USB 등 외장 저장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각각의 원인별로 구체적인 해결책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지원되는 동영상 및 오디오 포맷 확인하기
파워포인트는 버전에 따라 지원하는 동영상 및 오디오 포맷, 코덱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최신 Office 365 및 Microsoft 365 환경에서는 MP4(H.264 비디오, AAC 오디오), WMV, AVI, MOV(QuickTime)가 광범위하게 지원됩니다. 그러나, 동영상이 MP4 파일이라고 해도 코덱이 다르면 재생에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영상을 삽입하기 전에는 가능한 한 ‘MP4(H.264/AAC)’ 포맷을 권장합니다. 무료 변환 프로그램(예: HandBrake, Format Factory, VLC Media Player 등)을 사용해 동영상 파일을 H.264/AAC 코덱의 MP4로 변환하면 호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코덱 확인은 MediaInfo와 같은 무료 도구를 사용하면 쉽게 가능하며, 파일 속성에서 오디오 트랙이 ‘AAC’ 혹은 ‘MP3’ 등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동영상의 오디오 트랙이 희귀 코덱(예: AC3, DTS 등)이라면 파워포인트에서 음성이 나오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럴 때는 변환을 통해 호환되는 오디오 포맷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코덱 변환 후에는 반드시 재삽입을 해야 하며, 기존에 삽입된 파일은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영상 오디오 트랙 상태 점검
동영상 자체에 문제가 있는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동영상 파일을 파워포인트가 아닌 별도의 동영상 플레이어(예: Windows Media Player, VLC 등)에서 직접 재생해보세요. 만약 여기서도 음성이 나오지 않는다면, 동영상 파일 내 오디오 트랙이 손상됐거나 아예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럴 경우에는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예: Adobe Premiere Pro, DaVinci Resolve, Movavi 등)로 열어 오디오 트랙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음성 파형이 보이지 않거나, 트랙 자체가 없다면 해당 동영상은 음성을 별도로 추가해 다시 저장해야 합니다.
또한, 온라인에서 다운로드 받은 동영상은 저작권 문제로 아예 음성 트랙이 제거된 경우도 많으니, 가능하다면 원본 소스를 확인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공식 경로에서 동영상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파워포인트 내부 및 컴퓨터의 오디오 설정 점검
파워포인트 내에서 음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 내부 음소거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슬라이드 쇼 실행 시, 우측 하단에 있는 볼륨 아이콘이 음소거로 되어 있다면 해제해야 하며, 동영상을 클릭했을 때 표시되는 ‘동영상 도구’ 메뉴에서 ‘재생 옵션’의 오디오 볼륨이 ‘음소거’로 되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컴퓨터의 경우, 작업표시줄 우측 하단의 스피커 아이콘을 클릭해 전체 시스템 볼륨이 충분히 높게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음소거 상태가 아닌지 점검하세요. 또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 여러 개의 오디오 출력 장치(스피커, 헤드폰, HDMI 오디오 등)가 연결되어 있다면, 파워포인트가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가 실제로 소리가 나는 장치와 일치하는지 ‘사운드 설정’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HDMI 케이블로 외부 모니터나 빔프로젝터에 연결한 경우, 오디오 출력이 자동으로 HDMI로 전환되어 PC 내장 스피커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소리’ 설정에서 원하는 출력 장치를 수동으로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동영상 삽입 방식 – ‘링크’ vs ‘삽입’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을 삽입할 때는 ‘파일에서 삽입’과 ‘링크 삽입’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파일에서 삽입’은 동영상 파일이 프레젠테이션 파일(.pptx) 내부에 포함되는 방식이고, ‘링크 삽입’은 외부 파일의 경로만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링크 삽입’의 경우, 원본 동영상 파일이 다른 위치로 이동되거나 이름이 바뀌면 재생이 되지 않습니다. 음성 역시 같은 원리로 출력되지 않습니다. 프레젠테이션을 다른 PC에서 실행하거나, USB로 파일을 옮겨 사용할 때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반드시 ‘파일에서 삽입’ 방식으로 동영상을 추가하세요. 이미 링크 방식으로 삽입했다면, 슬라이드에서 동영상을 삭제한 뒤 ‘삽입’ 메뉴 → ‘비디오’ → ‘내 PC의 비디오’에서 해당 동영상을 선택해 삽입하시면 됩니다. 이때 파일 크기가 커질 수 있으나, 파일 일체형으로 관리가 편리하며 음성 문제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버전 및 업데이트 상태 확인
파워포인트의 구버전(특히 2010, 2013 등)은 최신 동영상 코덱이나 포맷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Microsoft의 공식 지원 문서에 따르면 2016 이전 버전은 H.264/AAC 코덱 지원이 불완전하거나, 일부 환경에서 아예 재생이 되지 않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워포인트의 최신 버전(2025년 기준 Office 365, Microsoft 365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만약 구버전을 쓰고 있다면, 반드시 업데이트를 진행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업데이트는 ‘파일’ → ‘계정’ → ‘업데이트 옵션’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Windows 운영체제 자체의 미디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거나, 필요한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동영상 음성 재생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Windows 기능에서 ‘미디어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Microsoft Store에서 ‘HEVC Video Extensions’와 같은 코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손상 여부 확인
간혹 파워포인트 파일 자체가 손상되어 동영상 음성 출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파일 손상은 저장 중 오류, USB 등 외장 저장장치에서의 불안정한 이동, 클라우드 동기화 중 충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통해 프레젠테이션을 새 파일로 만들어 보거나, 동영상만 새로 삽입해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새 파일에서는 정상적으로 음성이 출력된다면, 기존 파일이 손상된 것이므로 새 파일로 작업을 이어가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발표 환경별 오디오 출력 이슈
발표장 환경에서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표장 음향 시스템이 파워포인트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피커 연결 불량, 믹서 설정 오류 등 물리적 환경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발표장 음향 담당자와 사전 리허설을 진행해 실제 발표 환경에서 동영상 음성이 잘 나오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HDMI, VGA, AUX, 블루투스 등 다양한 케이블 연결 방식이 혼재된 환경에서는 오디오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명확히 파악해야 하며, 필요시에는 별도의 오디오 케이블로 출력 장치를 지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동영상 음성 미출력 문제를 예방하는 사전 점검 리스트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 음성이 안 나오는 문제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전 점검 리스트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동영상 파일은 반드시 MP4(H.264/AAC) 포맷으로 변환해 사용한다.
2. 동영상 파일을 파워포인트 외부 플레이어에서 미리 재생해, 음성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사전에 확인한다.
3. 파워포인트의 동영상 삽입 방식은 ‘파일에서 삽입’을 사용한다.
4. 파워포인트 및 운영체제, 오디오 드라이버, 코덱 등이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고 업데이트한다.
5.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다른 PC, 발표장 등에 옮길 때는 동영상 파일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오디오 출력 장치가 일치하는지 점검한다.
6. 발표장 환경에서는 리허설을 통해 음향 장비와의 호환성을 사전에 확인한다.
이 점검 리스트를 실천하면 실제 발표 시 음성 미출력 문제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지속될 때 추가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고급 해결법
앞서 안내 드린 방법으로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고급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첫째, 동영상 파일을 완전히 새로 제작해보는 방법입니다. 기존 파일이 손상됐거나, 인코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새로 제작한 파일은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둘째, 파워포인트 외부에서 동영상 대신 오디오 파일(MP3, WAV 등)만 별도로 삽입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동영상은 무음으로 삽입하고, 오디오 파일을 슬라이드에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동영상 오디오 트랙과의 호환성 이슈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습니다.
셋째, 제3자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예: Google Slides, Keynote 등)로 임시 전환 후, 동일한 동영상을 삽입해 테스트해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만약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음성이 정상적으로 재생된다면, 파워포인트 또는 Windows 환경의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넷째, 파워포인트 프로그램 자체의 ‘복구’ 기능이나, ‘안전 모드’로 실행해 문제 원인을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복구 기능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Office를 선택 후 ‘복구’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Microsoft 공식 지원팀(https://support.microsoft.com/ko-kr/office/)에 문의해 진단을 요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버그나, 해결책이 업데이트되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기준 파워포인트 동영상 음성 재생 관련 주의사항
2025년 현재, 파워포인트는 다양한 운영체제(Windows, macOS, 웹 등)에서 호환성을 강화하고 있으나, 운영체제별, 브라우저별로 세부 지원 코덱이나 기능 차이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macOS용 파워포인트는 WMV 포맷을 기본 지원하지 않으므로, MP4(H.264/AAC) 사용이 더욱 권장됩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파워포인트(예: Microsoft 365 웹 버전)는 대용량 동영상 파일 및 오디오 코덱 지원이 데스크탑 버전보다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발표나 영상 중심의 프레젠테이션은 데스크탑 버전에서 미리 사전 테스트를 충분히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실전 발표 전 반드시 테스트하세요
파워포인트에서 동영상의 음성이 나오지 않는 문제는 단순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원인과 해결책이 존재합니다. 파일 포맷, 코덱, 파워포인트 버전, 컴퓨터 및 발표장 환경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만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실제 발표 전 반드시 최종 환경에서 동영상 음성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 충분히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사전 점검과 준비만으로도 대부분의 문제는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위에서 안내드린 절차에 따라 차근차근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적용하신다면, 발표 현장에서 당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파워포인트 동영상 음성 문제는 기술적 원리를 이해하고, 꼼꼼한 사전 준비와 점검을 통해 충분히 예방 및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항상 성공적인 프레젠테이션을 응원합니다.
총 438건의 게시글이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