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메세지가 왔습니다
정보게시판
공유기 MAC 주소 필터링 기능으로 접속 관리하는 법
최고관리자
2025.10.28 00:53
114

공유기 MAC 주소 필터링 기능을 활용한 네트워크 접속 관리 방법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다 보면, 누가 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는지 궁금하거나, 혹은 특정 기기만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싶으실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기능이 바로 공유기의 MAC 주소 필터링(MAC Address Filtering)입니다. 최근 2025년 기준, 여러 공유기 제조사와 국내외 보안 기관에서 권장하는 네트워크 보안 관리 방법 중 하나로 MAC 주소 필터링이 꾸준히 언급되고 있는데요, 이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MAC 주소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관리의 기본이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입니다. MAC 주소는 일종의 하드웨어 식별 번호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프린터 등)는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주소는 12자리의 16진수(예: 00-14-22-01-23-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더넷, 와이파이 등 네트워크 어댑터에 영구적으로 할당되어 있습니다. 각 제조사는 MAC 주소 할당을 국제적으로 관리되는 규격(IEEE)에 따라 고유하게 지정하므로, 이론적으로는 같은 MAC 주소를 가진 기기가 네트워크 상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AC 주소를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기를 식별하고,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의 기본 원리
공유기의 MAC 주소 필터링 기능은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기기의 MAC 주소를 확인한 뒤, 관리자가 사전에 등록한 허용 목록(화이트리스트) 혹은 차단 목록(블랙리스트)에 따라 접속을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기기의 MAC 주소만 등록해두면, 그 외의 모든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특정 기기만 차단하고 싶을 때는 블랙리스트 방식으로 해당 MAC 주소를 등록해두면 됩니다.
이 기능은 유무선 공유기 대부분의 관리 페이지에서 제공되며,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공유기(2025년 기준 TP-Link, ASUS, Netgear, ipTIME, KT, SK브로드밴드, LG U+ 등 주요 국내외 제조사 제품)는 MAC 주소 필터링을 기본적으로 지원합니다. 다만, 일부 구형 제품이나 저가형 모델은 이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사용 전 제품 설명서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MAC 주소 필터링이 필요한 이유
MAC 주소 필터링의 가장 큰 장점은 네트워크 접근 제어의 용이성입니다. 예를 들어, 어린 자녀가 사용하는 기기만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허용하거나, 회사 내에서 업무용 기기 외에 개인 기기의 접속을 차단하고 싶을 때 효과적입니다. 또한 외부인이 임의로 네트워크에 접속해 무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거나, 내부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025년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등 보안기관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WPA3 이상의 암호화 방식과 더불어, MAC 주소 필터링 등 추가적인 접근제어 방법을 병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 해킹 사고의 상당수는 기본 암호 설정만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여러 단계의 보안 조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AC 주소 필터링을 제대로 활용하면 네트워크의 보안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 드립니다.
MAC 주소 확인 방법
MAC 주소 필터링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기기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기기별로 MAC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 PC :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한 뒤, ipconfig /all 명령어를 입력하면 '물리적 주소'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cOS : 상단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고급' → '하드웨어' 탭에서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안드로이드)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상태' 또는 'Wi-Fi 정보'에서 MAC 주소를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iOS) : '설정' → '일반' → '정보' → 'Wi-Fi 주소' 항목에서 표시됩니다.
태블릿, 프린터 등 기타 기기 : 대부분 '설정' 또는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각 기기의 MAC 주소를 정확하게 확인한 후,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등록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공유기에서 MAC 주소 필터링 설정하는 방법
실제로 공유기에서 MAC 주소 필터링을 설정하는 방법은 제조사 제품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기본적인 절차는 유사합니다. 대표적인 설정 과정을 ipTIME 공유기를 기준으로 예시로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웹 브라우저에서 공유기의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예: 192.168.0.1, 192.168.1.1 등)를 입력해 접속합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기본값(예: admin/admin)이거나, 기존에 설정한 값으로 로그인합니다.
2. 무선 설정 메뉴 이동
메뉴에서 '고급 설정' → '무선 설정/보안' 항목을 선택합니다. 일부 제품은 '네트워크 관리' 또는 '접근 제어' 등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3. MAC 주소 필터링 기능 활성화
'MAC 주소 필터링' 또는 '무선 MAC 주소 인증' 항목을 찾아 활성화합니다. 여기에서 ‘허용(화이트리스트)’, ‘차단(블랙리스트)’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MAC 주소 등록
허용 또는 차단할 기기의 MAC 주소를 한 줄씩 입력하거나, 이미 접속된 기기 목록에서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수의 MAC 주소를 한 번에 등록할 수 있도록 콤마(,) 또는 엔터로 구분해 입력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5. 설정 저장 및 적용
모든 입력을 마친 후 반드시 '저장' 또는 '적용' 버튼을 눌러야 실제로 필터링이 적용됩니다. 일부 공유기는 재부팅이 필요할 수 있으니, 안내 메시지를 확인해 주세요.
다른 제조사의 공유기 역시 위와 유사한 절차를 따르며, 자세한 메뉴 위치나 용어는 제품별 설명서를 참고하시면 안전하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의 실제 활용 사례
최근(2025년) 국내외에서 MAC 주소 필터링 기능을 활용한 네트워크 관리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이나 학원 같은 교육기관에서는 학생용, 교사용 기기를 구분해 네트워크 접속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업무용 사무실에서는 직원용 노트북, 프린터 등 업무에 꼭 필요한 기기만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개인 스마트폰이나 외부인의 기기는 차단해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데 MAC 주소 필터링이 적극적으로 쓰입니다.
또한, 최근 스마트 홈 기기(스마트 TV, IoT 가전 등) 사용이 급증하면서, 가정에서도 가족 구성원별로 기기를 구분해 접근을 관리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 스마트폰과 노트북만 허용하고, 자녀의 기기는 특정 시간에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MAC 주소 필터링의 한계점과 보완책
MAC 주소 필터링은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인 접근제어 방법이지만, 완벽한 보안 수단은 아닙니다. 2025년 현재 보안 전문가들은 MAC 주소 필터링이 ‘기본적인 보안 강화 수단’임을 강조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첫째, MAC 주소는 네트워크 패킷에 평문(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으로 포함되어 전송됩니다.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 스니핑(패킷 도청) 도구(예: Wireshark, airodump-ng 등)만 있으면 네트워크에 접근한 기기의 MAC 주소를 손쉽게 캡처할 수 있습니다.
둘째, 일부 고급 사용자나 해커는 MAC 주소 변경(스푸핑, Spoofing) 기법을 이용해, 실제 허용된 기기의 MAC 주소로 자신의 기기를 위장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리눅스, macOS,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MAC 주소를 임의로 바꿀 수 있는 명령어나 앱이 이미 널리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MAC 주소만으로 100% 안전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셋째, 기기 수가 많아질수록 MAC 주소 목록을 수동으로 관리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대학 기숙사, 중대형 사무실 등에서는 관리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MAC 주소 필터링은 네트워크 접근 제어의 ‘1차 방어선’으로 사용하시고, WPA2 또는 WPA3 이상의 강력한 무선 암호화, 게스트 네트워크 분리, 정기적인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 등 다양한 보안 조치를 병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2025년 기준 최신 공유기는 WPA3-Enterprise, 802.1X 인증 등 고급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환경에 따라 추가적으로 활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과 병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방법
네트워크를 보다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해, MAC 주소 필터링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보안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1. WPA3 무선 암호화 사용
2025년 현재 대부분의 최신 공유기는 WPA3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WPA3는 WPA2보다 더 강력한 암호화와 키 교환 방식을 제공하여, 무차별 대입 공격이나 도청 시도를 크게 줄여줍니다.
2. 게스트 네트워크 분리
공유기에 별도의 게스트 네트워크를 생성해, 방문자나 임시 사용자가 메인 네트워크와 분리된 공간에서 인터넷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중요한 내부 데이터와 자원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습니다.
3. SSID 숨김 및 비정상 접속 알림
공유기에서 SSID(네트워크 이름)를 숨기면 일반 검색에서 네트워크가 보이지 않아 무단 접속 시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고급 공유기는 비인가 기기 접속 시 관리자에게 알림을 보내주는 기능도 제공하므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4. 공유기 펌웨어 정기 업데이트
공유기 제조사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될 때마다 펌웨어(내장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합니다. 최신 펌웨어로 항상 유지하면, 알려진 해킹 기법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높아집니다.
5.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로깅
공유기에서 제공하는 연결 기기 현황, 트래픽 로그 등을 주기적으로 확인해, 수상한 기기가 접속했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필요시, 비인가 기기를 즉시 차단하거나, 추가적인 보안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여러 보안 기능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면, MAC 주소 필터링만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네트워크 보안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실제 환경에서의 관리 팁
1. MAC 주소 목록은 주기적으로 점검하기
가정이나 회사에서 새로운 기기가 추가되거나, 기존 기기가 교체될 때마다 MAC 주소 목록을 꼭 갱신해 주세요. 등록되지 않은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새 기기 도입 시 바로 MAC 주소를 확인하고 등록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2. 기기 분실 시 빠른 차단
노트북, 스마트폰 등 휴대기기를 분실했을 때, 해당 기기의 MAC 주소를 공유기에서 즉시 차단하면 제3자가 네트워크를 악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MAC 주소 관리표 작성
기기별 MAC 주소를 엑셀 파일이나 노트 앱 등에 정리해 두면, 추후 관리가 훨씬 용이해집니다. 특히, 기기 수가 많은 경우 이런 관리표가 큰 도움이 됩니다.
4. 접속 기록 주기적 확인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서 ‘연결된 기기 목록’이나 ‘로그’ 기능을 이용해, 실제로 어떤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등록하지 않은 MAC 주소가 보인다면 즉시 차단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MAC 주소 필터링과 관련한 자주 묻는 질문
Q1. MAC 주소 필터링을 활성화하면,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지나요?
A1. MAC 주소 필터링은 단순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를 식별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속도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등록된 기기 수가 수백 대 이상일 경우 극히 일부 저사양 공유기에서는 접속시 약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나, 2025년 기준 대부분의 가정용/사무용 공유기에서는 무시할 만한 수준입니다.
Q2. MAC 주소 필터링만으로 해킹을 완전히 막을 수 있나요?
A2. 아닙니다. MAC 주소 필터링은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앞서 설명드린 MAC 주소 스푸핑 등으로 우회가 가능합니다. 반드시 WPA2/WPA3 무선 암호화, 게스트 네트워크 분리, 펌웨어 업데이트 등과 병행해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3. MAC 주소가 바뀌는 경우도 있나요?
A3. 일부 최신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서는 개인정보 보호 등을 위해 ‘임의의 MAC 주소(Randomized MAC)’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Wi-Fi 접속 시마다 다른 MAC 주소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MAC 주소 필터링을 사용할 때는 해당 기기에서 ‘고정 MAC 주소’ 사용을 선택해야 합니다.
Q4. MAC 주소를 잘못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요?
A4. 허용 목록에 잘못된 MAC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기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특히, 관리자의 기기 MAC 주소를 잘못 입력해 스스로 접속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입력 시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Q5. 등록된 MAC 주소를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나요?
A5. 네트워크 패킷을 도청하는 전문 도구를 사용하면,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기기의 MAC 주소를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MAC 주소 필터링만으로는 완벽한 보안이 어렵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안내 드립니다.
최신 트렌드: MAC 주소 필터링의 자동화 및 통합 관리
2025년 최신 공유기 및 네트워크 관리 솔루션에서는 MAC 주소 필터링 기능을 보다 자동화하거나, 중앙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에서는 기기 등록 요청이 들어올 때 관리자에게 알림을 보내고, 승인을 통해 자동으로 MAC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 기반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에서는 비정상 트래픽이나 이상 행위가 감지될 경우, 자동으로 해당 기기를 차단하고,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처럼 MAC 주소 필터링은 ‘수동 관리’에서 ‘지능적 자동 관리’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이나 스마트홈 환경에서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MAC 주소 필터링이 단순한 접근제어를 넘어, 네트워크 보안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치며
공유기의 MAC 주소 필터링 기능은 네트워크 접근을 관리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각 기기의 고유한 MAC 주소를 기준으로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네트워크 보안을 한층 높여줍니다. 물론, MAC 주소 필터링만으로는 완벽한 보안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WPA3 무선 암호화, 게스트 네트워크 분리, 펌웨어 업데이트 등 다양한 보안 조치를 병행해 주시기를 권장합니다. 최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MAC 주소 필터링을 포함한 여러 보안 기능이 통합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니, 주기적으로 관리 페이지와 설명서를 확인하며 최적의 보안 환경을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관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